오는 9월 7일 개막하는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판소리, 모두의 울림》(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는 인류세, 기후 위기 등 미래지향적인 공간 재조직을 화두로 삼고 있습니다.
Opening on September 7, the 15th Gwangju Biennale 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 attempts to map the coordinates of contemporary complexity, focusing on the Anthropocene, climate crisis, and the reorganization of space for the future. |
|
|
노엘 W. 앤더슨(Noel W. ANDERSON), 이예인(Yein LEE), 도라 부도어 (Dora BUDOR), 성 티우(SUNG Tieu), 최하늘(CHOI Haneyl), 캔디스 윌리엄스(Kandis WILLIAMS), 아몰 K. 파틸(Amol K. PATIL) |
|
|
'부딪침 소리' 섹션은 모든 것이 서로 인접한, 밀도 높은 공간 속 "음성" 이미지를 다룹니다.
A visual representation of "voices" in a dense space, where everything is adjacent to each other is shown at the 'Feedback Effect' section. |
|
|
쳉 신하오(Xinhao CHENG), 맥스 후퍼 슈나이더(Max Hooper SCHNEIDER), 권혜원(KWON Hyewon) |
|
|
‘겹침 소리’ 섹션에는 여러 초점을 가진 다층적 세계관에 주목하는 작가들의 작업이 전시됩니다.
The 'Polyphonies' section showcases work by artists who focus on multi-layered worldviews from diverse perspectives. |
|
|
비앙카 봉디(Bianca BONDI), 박미미(Mimi PARK), 소피아 스키단(Sofya SKIDAN), 존 도웰(John DOWELL) |
|
|
'처음 소리' 섹션에서는 빅뱅의 첫 번째 소리, 중국의 ‘치’, 불교의 ‘옴’ 등 태초의 소리를 매개로 한 전시가 펼쳐집니다.
The 'Primordial Sound' section is inspired by the sounds of the beginning of time, including the first sound of the Big Bang, the Chinese “chi,” and the Buddhist “om". |
|
|
줄리앙 아브라함 '토가'(Julian Abraham 'TOGAR'), 마리아 로젠필드(Marina ROSENFELD), 김영은(KIM YoungEun) |
|
|
'소리숲' 섹션에서는 양림동 8곳이 전시 공간으로 활용되며 일상적 삶의 터전과 예술의 공존 가능성을 실험합니다.
In the 'Resonance' section, eight sites in Yangnim-dong are used as exhibition spac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ordinary life. |
|
|
광주 전역에 울려퍼지는 전세계 동시대 미술
Contemporary art from around the world echos across Gwangju |
|
|
광주비엔날레파빌리온은 다양한 기관과 주체의 탈경계적 협업의 결과물인 31개 파빌리온을 제15회 광주비엔날레 기간 동안 선보입니다.
As part of the Gwangju Biennale Pavilion, 31 pavilions, a result of cross-boundary collaborations by various entities such as institutions, artists, and countries, showcase contemporary art from around the world during the 15th Gwangju Biennale. |
|
|
광주비엔날레 X 로파 서울 아트샵
Gwangju Biennale X LOFA Seoul Art Shop |
|
|
전시 관람의 여운과 감흥을 증폭시키고, 또 다른 전시 경험과 체험을 경험할 수 있는 광주비엔날레 아트샵 'G#'이 9월 5일 개장합니다. 광주비엔날레의 가치를 담은 아트숍을 구현하기 위해 광주비엔날레 마케팅팀과 다양한 분야의 아티스트와 디자이너가 협업하였으며, 라이프스타일 큐레이션 편집숍 로파서울이 G#의 기획과 디자인으로 함께 했습니다.
The Gwangju Biennale Art Shop 'G#' will open on September 5 to amplify the excitement following the exhibition and provide a distinct experience by combining culture, art, and lifestyle. G#, which embodies the values of the Gwangju Biennale, is realized in collaboration with artists and designers from various fields, along with designs by lifestyle and curation editorial shop LOFA Seoul. |
|
|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홍보관
15th Gwangju Biennale promotion center |
|
|
광주비엔날레 홍보관에서 EIP 색칠 퍼포먼스 중인 박양우 (재)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 니콜라 부리오 예술감독
President of Gwangju Biennale Foundation Park Yang-woo and Artistic Director Nicolas Bourriaud, EIP coloring performance at the Gwangju Biennale promotion center |
|
|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홍보관이 지난 8월 8일 광주신세계 백화점 1층 컬처스퀘어에 개관식을 열었습니다. 광주비엔날레에 대한 다양한 정보, 포토존 등 다양한 즐길거리가 있는 광주비엔날레 홍보관은 9월 6일까지 운영됩니다.
The 15th Gwangju Biennale promotion center opened on August 8 at the Culture Square on the first floor of Gwangju Shinsegae Department Store. The Gwangju Biennale Promotion Center, which offers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the Biennale, a photo zone, and more, will be open until September 6. |
|
|
(재)광주비엔날레 Gwangju Biennale Foundation
news@gwangjubiennale.org
광주광역시 북구 비엔날레로 115 115, Biennale-ro, Buk-gu, Gwangju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